본문 바로가기

사랑하는 손녀에게

돈방석은 사람을 무한 으로 행복하게 하지는 않는다

반응형

사랑하는 손녀야~  오늘은 돈과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마.

우리 사회는 돈 먹는 하마이다. 모든 사람들은 돈벌이가 되면 물불 안 가리고 뛰어들어 육신을 불태운다. 이들은 돈방석은 사람을 무한으로 행복하게 한다고 믿고, 돈을 위해서라면 목숨을 걸 태세이다.

이곳 당진은 가을 무의 산지이며 몇 년 전까지만 하여도 꼭두새벽 서리가 하얗게 내린 무밭에서 모닥불을 놓고 아침햇살이 펴지기를 기다리는 아낙들이 있었다. 워낙 소득이 없던 촌노들은 무 장수들의 꽁무니만 쫓아다니며, 일꼬리를 놓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었다.

 



가을비 추적주적 내리는 야간에도 그들은 유령처럼 우장을 한채 무를 뽑고, 묶고, 상차하면서 작업을 계속했었다.  소득이 전혀 없었던 그들에서는 원 없이 돈을 벌고 싶었으며, 돈을 위해서는 영혼이라고 팔겠다는 태세였었다. 

 

 

배금주의에 팽만한 젊은이 들은 돈벌이를 위해 범죄도 불사 하며, 이들을 부추기는 범죄영화나 오락물도 있니 끔찍함이 도를 넘어 공포감마저도 조장하고 있다. 과연 돈이 인생의 전부인 양 모든 것을 몰빵 해도 좋을 만큼 가치가 있는 것일까? 

돈은 분명 어느정도 있어야 행복을 누릴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생각 하고 있는것 처럼 있으면 있을수록 행복해 지는        " 다다익선 "은 아니다.
이는  많은학자들의 연구 되었으며, 미국의 경제학자 리치드 이스털린은 " 일정 수준 까지는 돈이 많을 수룩 사람의 행복도가 높아 지지만  일정수준 이르므면 돈을 더 많이 벌어도 행복도가 높아지지 않는다"라고 말했으며, 이를 유명한  "이스털린의 역설 " 이라고  말 한다.
미국의 부호 록펠러나 카네기도 많은 돈을 움직였지만 개인적으로는 검소 했을것 같다,

 

 

 
 
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년 4월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근로자가 근로소득으로 월 600만원 받았을때 가장 행복지수가 높았으며, 600만원이 넘으면 근로시간도 늘어나며 행복지수는 오히려 감소 한다고 했다. 지영업자는 월 1,480만원이 넘으면 행복지수는 감소 한다고 한다.

 

 

 

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세계 200개 국가중에서 10위라니 엄청 잘 사는 나라에 속한다, 그런데 행복 지수는 54위 이라니 왜 이런 일이 벌어진것 일까?
우리는 앞에서 말한 기준에 도달하기 직전 이니, 조금만 참고 차분히 일하며 기다리면 된다. 밤에 제일 어두운때는 초저녁 이며 땅거미 라고 말 하는, 잠시의 칠흑같은 때를 말 한다. 소득 면 애서 우리는 그런 시기 인것 같다.

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반응형